천궁-II(천궁 PIP, 천궁 Block 2)
Si vis pacem, para bellum!

평화를 원하면, 항상 전쟁을 준비하라!

현H의 무기이야기

무기체계/유도무기체계

천궁-II(천궁 PIP, 천궁 Block 2)

현SH 2021. 4. 5. 20:03
반응형

◎천궁-II(천궁 PIP, 천궁 Block 2)


구글이미지검색


▷소개

LIG넥스원


천궁II는 대한민국이 탄도탄 요격을 위해 개발된 천궁 포대 체계에서 운용이 가능한 탄도탄 전용 요격 미사일이다.

천궁 Batch1과 달리 Hit to Kill방식을 사용하여, 화학탄과 핵탄두를 완전히 무력화 시키는 것이 이 체계의 임무이다.



▷개발

미사일은 천궁-1과는 완전 다른 모델이고, 발사대는 동일하다. 레이더에 SW개선이 진행되었다고 한다.

2009.11. : 소요결정
2012~2007 : 1600억 투입 개발



▷양산

7개 포대가 생산되었으며,
최소 수량은 7×8×4=224발 이다.
2020년 11월 12일 천궁2의 첫 출하 행사가 진행되었다.
2023년에 양산이 완료될 것으로 보인다.
2028년까지 총 20개 이상의 천궁-II 포대를 배치하기로 2020년 08월 12일 합동전략실무회의에서 결정하였다고 한다.
유도탄은 2025년 까지 450발, 2028년까지 700발이 추가로 배치될 것이라고 한다.



▷제원

* 단가
발 당 18억에서 20억

*크기
직경 : 275mm 이상
길이 : 6.8~8m 사이
무게 : N/A
탄두무게 : N/A

*비행성능
요격고도 : 10~50km
최대 사거리 : 40km
최대 속도 : 마하5

*교전성능
동시 교전 표적수 : 10~20개


▷형상

천궁 기본형 보다 두껍고, 길어졌으며, 전방에 카나드 익이 추가된 형상이다.



▷구조

ADD국방과학연구소


전방에서 부터, 탐색기, 관성센서, 카나드익 구동장치, 초기 방향 전환용 측추력기, 탄두, 유도전자부, 종말유도용 측추력기, 고체 추진체, 회전날개로 이루어져 있다.

전방의 카나드는 전체적인 비행안정성을, 후방의 회전날개는 표적접근을 위한 정밀제어용 이라고 한다.



▷시커

*Ku-Band 시커
기계식 레이더 시커로, 짐벌을 보유하는 모델이다.


▷탄두

중앙에 폭약이 있고, 폭약주변을 텅스텐 관통자로 둘러싼 형태로 직격 후 폭발하여, 탄도탄의 자탄이나 내부 장비까지 완전히 파괴하도록 설계되었다.

▷신관
탐색기 기반 신관


▷추진장치
고체로켓, 공중점화발사방식


▷측추력기

*초기방향전환용 측추력기
ACS보다는 앞쪽에 위치하는 측추력기로, 발사 직후 자세 제어용 로켓으로, 고체추진체를 사용한다.


*ACS
최종 요격 절차에서 자세 변경을 위해 유도탄 전방 부분에 자리하는 측추력기이다.

작동은 공압식으로, 고체 연료를 계속 연소시켜서 가스를 용기내부에 모으다가, 노즐에 달린 BLDC모터를 이용해서 셔터의 개폐를 조절하여 측추력기의 가동과 출력을 통제한다.



▷유도방식

초기에는 관성유도를 이용해 목표물에 접근하고, 이후 목표물에 접근 시 Ku-Band 시커를 이용해 호밍방식으로 적 탄도탄을 격추한다.



▷목표물

*탄도미사일
마하7이상의 종말 속도를 가진 미사일

*핵미사일
*화학탄



▷발사대
발사대는 포대 당 6문이 기본이나 현재 4대씩만 배치되어 있고, 추가로 발사대를 추가로 연동시킬 수 있다고 한다.

이동식 지휘통제소와 레이더로부터 ○km이내에 전개를 하면, 데이터링크를 통한 작전통제가 가능하므로, 1개 포대의 최대 대공방어 영역은 90km 이상으로 추정된다.

○초 단위로 발사가 가능하다.


반응형

'무기체계 > 유도무기체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궁(匕弓)  (0) 2021.03.28
SDB-2(GBU-53B)  (0) 2021.02.23
천검 대전차 미사일  (0) 2021.01.29
KSAAM 해궁 함대공 미사일  (0) 2020.10.02

"); wcs_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