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기체계' 카테고리의 글 목록 (2 Page)
Si vis pacem, para bellum!

평화를 원하면, 항상 전쟁을 준비하라!

현H의 무기이야기

무기체계 81

리모아이-006

◎리모아이-006 ▷소개​ 대한민국 지상군의 대대급 무인정찰기로 보병이 들고 이동 가능한 크기이다. 대한민국의 오쉬노 부대에 배치되어 아프간 지역에서 작전한 바 있으며, 중동의 여러 국가들에 수출되었다. ▷제원​ *운용인원 : 2명 *크기​ 전장 : 1.72m 전폭 : 2.72m *비행성능​ 이륙중량 : 6.5kg 작전반경 : 15km 최대속도 : 75km/h 체공시간 : 120분 이상 충전시간 : 90분 최대고도 : 3km ▷센서​ *주간카메라​ 2축짐벌 채용 10배 줌인 *야간카메라​ IR카메라 장착 ▷이착륙방식​ *번지이륙 *낙하산회수 ▷항법​ *자동 고도, 방향, 속도 유지 비행 *신호단절 시 자동귀환 ▷구성​ 리모아이-005 : 4대 이동식 통제기 : 1대 영상 수신기 : 4대 충전기 : 1대

KUS-9 사단급무인정찰기

◎KUS-9▷소개​대한민국의 사단급 무인기로 대한항공에서 개발, 납품한 체계이다. 대한항공 내에서 KUS-9, KUS-FT, KUS DAUV등 여러 이름으로 불리는 듯 하다. ▷제원​*크기​ 전장 : 3.4m 전폭 : 4.2m 높이 : 0.9m *비행성능​ 이륙중량 : 165kg 순항속도 : 140km/h 최고속도 : 200km/h 운용고도 : 4km 운용반경 : 80km 운용시간 : 6시간 ▷센서​*EO/IR​ 센서는 주야간 센서이고, 동체배면에 설치되어 있다. 확대 : 26배줌 탐지거리 : 25km 인지거리 : 12km *조종용 카메라​ 기수부에 설치되어 조종석의 시야를 제공해 준다. *GPS 안테나​ GPS안테나가 2개가 설치되어 자세 측정도 가능하다. ▷이착륙 특징​ *발사대 이륙 발사대를 사용하..

네덜란드, 벨기에 차기 소해함, MCMV

▷소개 Tripartite class 트리팔타이트급 기뢰탐색함을 대체하기 위해 개발 중인 것으로 벨기에와 네덜란드가 진행하는 사업이다. 모듈화 설계를 채택하였다. 2021년 초도함 건조에 착수해서2024년에 인도하고, 총 12척이 건조되고, 벨기에 해군과 네덜란드 해군에 각각 6척 씩 인도되어 2025년~2030년 사이에 기존의 트리팔타이트급 기뢰탐색함을 대체할 예정이라고 한다. ▷개발​ •벨기에 *ABC​ 추진체계 개발 *FN Herstal​ 전투체계 개발 •네덜란드 *Kership(프랑스)​ 선박건조담당 •컨소시움 *벨기에 해군 & 로보틱스-Naval Group&ECA Group ​ 기뢰소해 프로그램 드론 시스템(툴박스) ​▷작전개념​ 종전의 소해작전은 속력이 느린 소해함이 직접 적 해역에 들어가서 ..

천궁-II(천궁 PIP, 천궁 Block 2)

◎천궁-II(천궁 PIP, 천궁 Block 2) ▷소개 천궁II는 대한민국이 탄도탄 요격을 위해 개발된 천궁 포대 체계에서 운용이 가능한 탄도탄 전용 요격 미사일이다. 천궁 Batch1과 달리 Hit to Kill방식을 사용하여, 화학탄과 핵탄두를 완전히 무력화 시키는 것이 이 체계의 임무이다. ▷개발 미사일은 천궁-1과는 완전 다른 모델이고, 발사대는 동일하다. 레이더에 SW개선이 진행되었다고 한다. 2009.11. : 소요결정 2012~2007 : 1600억 투입 개발 ▷양산 7개 포대가 생산되었으며, 최소 수량은 7×8×4=224발 이다. 2020년 11월 12일 천궁2의 첫 출하 행사가 진행되었다. 2023년에 양산이 완료될 것으로 보인다. 2028년까지 총 20개 이상의 천궁-II 포대를 배치하..

비궁(匕弓)

◎비궁(匕弓) 한국형 LOGIR ▷소개​ 비궁(匕弓)은 2.75인치 즉, 70mm급 직경을 갖는 소형 유도로켓이다. ▷개발​ *개발기간 : 2012년 12월~2015년 12월​ 2000년대, 우리군은 북한군의 250여척의 대규모 고속공기부양정의 침투에 대응해, 90mm 해안포와 KA-1을, 주한미군은 AH-64D/E를 이용하여 대응 중이었으나, 우리군은 90mm해안포의 노후화와 자체적인 한계 때문에 LOGIR를 개발하려 했었다. 2000년 10월, 미군은 예멘에서 소형자폭보트에 자국 이지스함이 공격받아 피해를 입자, 대규모 소형 자살 보트의 집단 공격에 대응할 무기 체계를 개발 하려고 준비하였다. 그렇게 지향점이 비슷했던 한미 양국은 2000년대 MOU를 체결하고, 개발에 착수하였다. 그러나, 사업 도중..

LSF-2 고속공기부양정

◎LSF-2 고속공기부양정 ▷소개​ 대한민국 해군이 독도급 상륙함에 탑재하기 위해 한진중공업과 개발한 고속공기부양정으로, 미국의 LCAC와 비슷한 체계이다. ▷개발​ 한국 해군이 독도급을 건조하면서 초수평선 상륙작전 개념을 정립하고, 이를 실제로 실시하기 위해 진행한 사업이다.​ 2002년 9월 부터 한진중공업이 개발에 착수하여 2007년 4월 첫 함정이 해군에 인도되고, 동년 10월에 취역하였다. ▷양산 *독도함 탑재용​ 2007년 10월에 군에 인도 되었다. LSF-631 LSF-632 *마라도 탑재용​ 2016년 12월 1524억 규모 건조계약 체결 2017년 02월 09일 2차 사업 착수회의 개최 LSF-633 LSF-635 ​*추가양산​ 2019년 12월 09일 방위사업청이 한진중공업과 3160..

AW-159 MK.210

◎AW-159 MK.210 AW-159 Mk.210은 대한민국 해군의 주력 대잠헬기로 영국 Augusta Westland사에서 개발한 대잠헬기이다. 영국군의 AW-159시리즈 보다 센서통합면에서 우수한 기체로 AW-159시리즈 중에서 가장 발달된 감시체계를 갖추고 있다. ▷도입​2013년 01월 15일 8대의 도입이 결정되어 8대가 6000억 정도에 해상작전헬기사업으로 도입되었다. 2016년 06월 13일 AN-124에 실려서 4대가 인도되었고, 17일에 나머지 4대가 인도되었다. 이후, 2017년에 실전배치가 완료되었다. ▷제원​ *크기​로터 포함 전장 : 15.24m 기체전장 : 13.49m 전폭 : 3.05m 날개포함전폭 : 12.8m 로터지름 : 12.8m 전고 : 3.73m 공허중량 : 3300..

무인기뢰처리기-II

◎시랜서 MDV ▷소개대양전기 공업에서 소해함 2차사업에 납품하기 위해 개발한 MDV무인 지뢰처리기로, PLUTO MDV의 개량형 모델에 해당한다. 기존의 게이마린의 PLUTO MDV를 일부 대체할 것으로 기대된다. ▷제원​*크기​전장 : 3.65m 전폭 : 0.55m 중량 : 437kg *잠항능력​작전속도 : 4kts 최대 속도 : 6kts 이상 잠항심도 : 300m 작전반경 : 동축케이블 500m 광섬유 케이블 2000m 초단파음향기준선 : ○.○km 작전시간 : 4시간(4kts) ▷개발 기존에 양양급 소해함에 쓰이던 PLUTO MDV를 2008년부터 2012년까지 ACDT(신개념 기술시범)방식으로 20억원을 들여서 개발하였다. ▷납품​2018년에 납품계약을 체결하였다고 한다. 2020년 12월 29..

KSS-3 Batch 1 도산안창호급

◎KSS-3 Batch 1 도산안창호급 ▷소개​ 대한민국 최초의 전략탄도 미사일 탑재 잠수함이자, 한국 최초 독자설계한 잠수함이다. ▷도입​ 2007년 5월 16일 제 16차 방위산업추진위원회에서 장보고-III급의 건조가 승인되었다. ▷개발​ 1990년대 후반, 대우조선해양 중심으로 DSX-3000 모델을 설계하였다. 2005년에 장기소요 결정 2007년 체계개발착수 ▷설계​ 2003년 독일 HDW와 대우조선해양은 공동으로 DSX-3000이라는 신형 잠수함을 설계하였다. 2008년 부산의 잠수함 설계 사무소에서 HHI(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의 기술자 각각 50명, 국방과학연구소 연구원, 해군 관계자 총 130명이 DSX-3000설계를 기반으로 장보고-III의 기본설계가 시작되었다. DSX-3000에서..

KSS-2 손원일급 잠수함

◎KSS-2 손원일급 잠수함대한민국의 두번째 전략잠수함 사업으로 독일 HDW사의 U-214급 잠수함을 국내에서 면허생산하여 배치했다. ▷사업 배경​이 역시 카더라라고 할 수도 있겠지만, 209급 사업을 9척으로 끝낸 해군은 1995년 209급 잠수함을 1500t급으로 확장하고, AIP를 탑재한 버전을 도입하여, 3000톤급 잠수함을 개발하는 중간 단계로 쓸려고 했었다. 그러나 현대의 로비로, KSS-2사업이 되면서, 고틀란트급, 스코르팬급, 214급이 3파전을 벌였으나, 고틀란트급을 생산하던 코쿰스사가 HDW에 합병되면서 스코르팬급과 214급이 경합을 벌였다. 그리고 출혈경쟁을 실시한 현대중공업과 HDW의 214급이 선정되었다고 한다. ▷개발209급 잠수함을 개발한 HDW가 209급의 선체모양을 개선하고..

반응형

"); wcs_do();